[서울파이낸스 이양우 기자]정유사들이 대리점과 주유소 등에 공급하는 주간 평균 휘발유 가격이 회사별로 처음
공개됐다. 가장 싼 곳은 SK에너지, 가장 비싼 곳은 에쓰오일이며, 그 격차는 ℓ당 약 17원으로 나타났다.
지식경제부는 8일 정유사들이 4월 다섯째주(4.26∼5.2)에 대리점과 주유소, 일반 판매소에 공급한 주간 평균 가격(세전)을
조사한 결과 보통 휘발유는 SK에너지가 가장 낮은 ℓ당 525.50원, 에쓰오일이 가장 높은 542.29원으로 최고와 최저간
가격차이가 ℓ당 16.79원이라고 밝혔다. 또, GS칼텍스는 ℓ당 542.25원, 현대오일뱅크는
539.96원이었다.
세후 기준으로는 SK에너지의 공급가격이 1천397.89원이었고 가장 비싼 에쓰오일은 1천416.35원이었다.
고급 휘발유(세전 기준) 역시 SK에너지가 ℓ당 584.24원으로 가장 싸고, 가장 비싼 곳은 현대오일뱅크로 ℓ당
669.05원으로 보통 휘발유에 비해 가격 격차가 더 컸다.
SK에너지는 경유와 실내 등유 가격(세전 기준)도 가장 낮아 ℓ당 각각 535.69원, 527.60원이었다.
경유 공급가격이 가장 비싼 정유사는 ℓ당 551.03원인 GS칼텍스이고, 실내 등유는 ℓ당 547.50원인 현대오일뱅크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같은 가격차이는 각 정유사별로 유통 구조의 차이에 따른 결과도 반영된 것이어서 단순한 공급가격 비교로 싼 곳과 비싼
곳을 판별하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SK에너지의 경우 대부분 물량이 대리점인 SK네트웍스를 통해 공급되고 있어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4월 다섯째 주를 기준으로 각 사별로 보통 휘발유의 대리점 공급비중을 보면 SK에너지가 95.6%에 달하는 반면, GS칼텍스는
22.0%에 불과하고 가장 가격이 비싸게 나온 에쓰오일은 16.5%에 그치고 있다.
한편, 정부는 앞으로 지경부와 공정거래위원회,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유가 모니터링 태스크포스'를 구성했으며 이를 통해 앞으로
정유사별 공급가 추이를 모니터링하면서 가격 인하효과와 가격 동조화 여부를 지속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